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독서4

숫자한국-오늘의 데이터에서 내일의 대한민국 읽기 한국 사회를 숫자로 해석한다고 처음엔 다소 딱딱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딱히 수학적인 지식이나 그런건 없어도 된다. 박한슬 작가의 『숫자한국』은 대다수의 일반인들에게 마냥 익숙하지는 않은 통계와 데이터를 통해, 우리가 발을 딛고 살아가는 한국사회는 어떤 사회인가에 대한 그림을 그려준다.이 책은 단순히 수치를 나열하는 통계 책이 아니다. 권위있는 기관이 발표한 숫자 뒤에 숨겨진, 숫자와 통계를 만들게 된 맥락, 권력, 편견, 왜곡 등을 보여준다. 예를 들자면 “평균 소득”이라는 익숙한 지표-우리는 보통 이 숫자를 보고 아 나는 평균이하구나, 나는 평균이상이구나 하고 넘어가겠지만-를 통해 어떻게 그 수치가 구성되었는지에 따라 전혀 다른 현실을 말해준다는 걸 보여준다.책에서는 다양한 분야를 다룬다. 인구, .. 2025. 5. 20.
2021년 2월 13일 일기 일단 독서목표: 사실 독서목표같은 거창한것 따위는 없다(...) 올해의 목표가 있다면 사놓고 안 읽을 책 그만 사기, 같은 것이 있는데,,, 이건 솔직히 좀 지키기 어려울 것 같고 이미 산 책들 빨리빨리 읽고, 팔아치우기 정도는 가능할련지도 모르겠다. 일단 올해 알라딘 중고서점에 책을 한무더기 가져다가 팔기는 했다. 총 27권을 팔겠다고 들고 갔고,,,, 그 중에서 총 23권을 팔았다. 근데 5만얼마밖에 안주더라(,,,) 최근에 팔았던 책들은 다 읽은 책, 그리고 읽었지만 다시는 읽지 않을 책, 안 읽었지만 앞으로도 읽지 않을 책이었다. 앞으로 살 책들은 글쎄,,, 글항아리라던가 아니면 그 소위 말하는 벽돌책(,,,) 류들은 그래도 꾸준히 사모을 예정이다. 아, 물론 애정해마지않는 워크룸 프레스의 책이다.. 2021. 2. 14.
2020년동안 읽은 책 소개 보통은 한해가 끝나갈때쯤 과정남에서 한해동안 읽은 책 리뷰를 하게 마련인데 올해는 그런게 없었다. 그래서 소개해보는 2020년동안 읽은 책들 소개. 순서 무작위, 책 리뷰는 없는데 여기에 소개한 책에 대해 쓴 리뷰가 내 블로그에 있을수는 있다. 기준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조리 읽었는가? 이며 장르는 (당연하게도)엄청나게 중구난방. 저자 이름, 책 제목 순으로 소개. 웹소설이나 웹툰 등등도 꽤나 많이 소비하고는 있지만 일단 단행본 기준으로만,,, 다 쓰고 나니까 의외로 이것저것 읽었구나 싶은데(,,,) 내용이 머리에 뭐가 얼마나 남았는지는 모르겠네(,,,) 1. 김영준, 2. 이혜미, 3. 김혼비, 4. 김혼비, 5. 장류진, 6. 오쿠다 히데오, 7. 김승섭, 8. 마영신, 9. 마영신, 10. 조경숙, .. 2021. 2. 7.
김민섭, <훈의 시대> ** 해당글은 제 페이스북 계정에 2019년 1월 26일에 업로드한 글입니다. (https://www.facebook.com/daein.park.560/posts/10161316341950394)0. 오늘의 리뷰(...) 김민섭 선생님의 를 읽었다. 저번 주말, 그러니까 토요일에 읽음. 잡상 및 인상비평 위주니까 편히 읽으시길(...)1. , 를 읽은 나는 아무래도 를 어느정도는 그 연장선상에서 읽어낼수밖에 없었는데... 가 대학원생이라는 애매모호한 정체성으로 살았던 한 개인의 어떤 특정 대학교에서의 삶의 기록이라고 한다면, 는 본격적으로 사회에 나와서 학자/작가로써의 정체성을 가진채 또다시 정규직인지 비정규직인지 애매한 상황에서 주체적인 공간과 직업을 가지지 못한채 남들의 대리해서 살아가는 삶에 대한 .. 2019. 2. 6.
728x90
반응형
LIST